-
주간회고 | 코드스테이츠PMB_12_이은주 2022. 5. 13. 14:17
지금의 나 이번 포스팅은 회고가 주제이니까 편하게 글을 써보려 한다. (과제 아니면 별로 힘을 쓰고 싶지 않아....)
개인적으로 PM에 관심이 생겼던 건 꽤 오래전인데 아마 일 년 전쯤? 하지만 그때는 Product manager가 아닌 Project manager에 관심이 있었고 학교를 한참 다니고 있었으며.. 학교 생활에 너무 지쳐 미래를 생각할 시간보다는 내 눈앞에 있는 문제 해결(과제^^)에 좀 더 초점을 맞췄다.
간간히 방학을 이용해 테크 기업을 조사하거나 뉴테크를 공부를 해 노션에 올렸지만 졸업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그것도 할 수 없게 됐다. 졸업 후, 자격증 취득, 인턴 부트캠프, 여행, 운동, 이사, 대학원 준비(결과는 아직), 영어 공부 등을 하며 시간을 보냈다가 이번 5월 드디어 취업 준비 = 부트캠프를 시작했다. 와 적고 나니까 엄청 tmi네ㅋㅋㅋㅋㅋㅋ
코드 스테이츠는 Self study를 굉장히 강조를 하는데 성인은 누가 하라고 force 한다고 공부를 하지 않으니 스스로가 공부를 해야 한다고.. 맞는 말이다. 학교에서 이런 방식으로 공부를 했는데 개인적으로 정말 효과적이었고 죽을 것(..) 같았다. 오전에는 강의를 듣고 강의 내용과 아티클 정리 오후에는 과제 준비를 하고 있다. 아마 첫 주니까 가능한 것 같고 조금 과제가 어려워지고 위클리 과제가 추가가 된다면 6시 넘어서 까지 하겠지...? 하지만 최대한 6시에는 끝내려고 한다. 내 집중력이 8시간 - 9시간이 한계인 것을 알고 그 후에 계속 진행을 하면 쓰레기 같은 아이디어만 나오고 다음날 체력에 문제가 있다. 나는 학부 생 때도 하루 7-9시간 공부하고 나면 그냥 쭉 쉬기만 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집중력이 짧은 걸 어떡하나유...ㅠ
자 정말 회고를 해보자 서론이 길다 못해 넘쳐나네
회고
1. 돌아다보는 것.2.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하는 것.W1D1 |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PM이 되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에서 벗어나 뚜렷하게 스케치를 해야 하는 순간이 왔다. 과연 내가 상상했던 PM과 실제 PM이 하는 일은 똑같을까? 아마도 아닐 것이다. 하지
eunjoomon.tistory.com
D1에서는 채용공고를 분석을 하고 공통적 또 개인적으로 중요하다 생각한 부분을 정리하여 포스팅을 하였다. 사실 PM이란 무엇인가 강의보다는 채용 분석을 해서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상을 분석을 한 게 굉장한 도움이 되었다. 위 포스팅에서 내린 PM의 정의
시장/제품 분석 능력이 뛰어나야 함 (엑셀, SQL 등)
커뮤니케이션 스킬 중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때문)
팀원들을 위해 Coach, Janitor가 되어야 한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옳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함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고객의 이해이 부분은 아직도 같은 생각이다. 처음 과제여서 좀 막막했는데 지금 보니까 그래도 괜찮게 쓰지 않았나 싶네^^?
https://eunjoomon.tistory.com/11
W1D2 | PD Life Cycle of Coupang|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Product Development Life Cycle를 이해해보자. 앞선 포스팅에서는 PM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고 그들의 Role과 Responsibilities 생각해봤다. 이번 시간은 Product Development Life Cycle를 프로덕트를 분석하..
eunjoomon.tistory.com
D2 워터폴 애자일 아주 지긋지긋한 모델.. 사실 쉬운 부분이 나온 것 같아 즐겁게 진행을 했다. 특히 쿠팡-로켓 배송을 분석이 매우 재밌었다. PD Development Life Cycle를 쿠팡에 적용을 하며 분석하였는데 쿠팡이 얼마나 고객만족에 진심인지 알 수 있는 부분이었다. 개인적으로 리서치하고 정리하는 거 좋아해서 샤샤샥- 하면서 했다. 조금 시간이 있었으면 쿠팡 물류시스템 분석도 해보고 싶다.
https://eunjoomon.tistory.com/12
W1D3 | MangoPlate 망고플레이트|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MangoPlate의 what, why, how 오늘은 전략에 관하여 공부를 하였다. 다양한 아티클을 읽었음에도 와닿지 않았다. 아마 막 졸업하고 경험이 없으니 지식 습득에 대한 한계가 분명히 존재하는 것 같다.
eunjoomon.tistory.com
쿠팡을 생각보다 수월하게 진행을 해서 조금 더 어려운 것을 해보자 해서 골랐는데 HELL.. 물론 어렵게 공부를 하면 머릿속에 더 잘 남는다고는 하지만 정보가 나와야지(..) 진행을 하든 말든 하는데... 후.. 이 부분은 앞으로도 더 공부를 해야지 fully understand 할 듯. 지금도 좀 물음표이다. 아, 사실 페어 리뷰 D2일 때 까지는 잘 이해를 못 했는데 이 날 페어분 과제를 보며 과제를 조금 더 잘 이해를 하였고, 과제의 이해도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 또한 깨달았다. 향상할 수 있는 부분과 개인적으로 궁금한 부분 이렇게 두 개를 과제 리뷰에 남겨주시는데 역시, fresh eyes가 굉장히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너무 감사하다!!
https://eunjoomon.tistory.com/14
W1D4 | 망고플레이트 리서치|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4일 차 과제는 시장분석을 하여 제품 시장분석 리서치를 진행을 하겠다. 글을 읽기 전, 아래의 글을 읽고 오면 이번 리서치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22.05.12 - [PMB_12_이은주] - 포지셔닝 in
eunjoomon.tistory.com
그렇다. D3 때 망고플레이트 어렵다고 찡찡거리면서 했는데 시장분석을 하라는 과제를 받았다. 아주 짜릿하다 못해....! 하지만 난 해야지... 사실 시장조사? 굉장히 좋아한다. 리포트, 뉴스, 논문 등 보면서 분석하는 게 제일 쉬운 걸 알거든...ㅠㅠ 신나서 글로벌 트렌드까지 정리한 사람 나야 나~ 대학교 과제처럼 진행했나 싶지만 오랜만에 과제하는 기분이라 즐거웠다구~~ 시장분석 끝나고 힘이 탁- 풀려서 슬렁슬렁 넘어간게 좀 찔리지만...
자 회고 끝났다. 이렇게 하는게 맞나 싶지만 난 정말 과제 외에는 크게 힘을 빼고 싶지 않다. 작성한 포스팅을 다시 읽으면서 고칠 점이 보이지 않는 게 문제였다. 5일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많은 혹은 큰 성장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아쉽네. 항상 무슨 일을 하든 만족하지 못하는 이 성격이 장점이라 생각했는데.. 시간이 지나서 다시 봐야겠다. 그때는 너무 창피해하며 삭제를 고려하고 있기를ㅋㅋㅋㅋㅋㅋ
아- 마지막으로! 토론 넘 재미따.. 사람들이랑 치고 박고 의견 쉐어하는 거? 아주 좋아합니다 ㅎㅎ
'PMB_12_이은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클리과제 | 클래스101 | PMB12기 (0) 2022.05.16 Design Thinking | PMB 12 (0) 2022.05.16 W1D4 | 망고플레이트 리서치|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2022.05.12 포지셔닝 in Eng|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2022.05.12 W1D3 | MangoPlate 망고플레이트|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2022.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