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W1D1 |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PMB_12_이은주 2022. 5. 9. 16:56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PM이 되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에서 벗어나 뚜렷하게 스케치를 해야 하는 순간이 왔다.

    과연 내가 상상했던 PM과 실제 PM이 하는 일은 똑같을까? 아마도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갭이 실망보다는 설렘으로 다가올 것임은 이번 OT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자, 그렇다면 PM은 무엇일까? 이를 알아내기 위해서 코드 스테이츠에서 제시해준 과제를 해결해나가며 알아가고자 한다.

     

     

    PM 채용 공고를 찾아 3개 이상 분석하여, Product Manager 가 하는 일을 정의해보세요. 분석 시에는 아래의 항목들을 참고하여 진행해주세요. (기업 이름, 채용 직무 명, 업무 (JD : Job Description), 자격 요건, 우대 조건)

     

    먼저, 다양한 채용 공고 사이트 중 wanted 사이트에서 3개의 공고를 찾아보았다. 

    기업 이름 굿닥 코드잇  코드스테이츠
    채용 직무 명 Product Manager Product Manager (B2B 담당) B2B Product Manager
    업무
    (JD : Job Description)
    >  Product 기획부터 출시까지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참여 합니다.

    >  사업 전략에 따라 가용한 리소스와 목표 일정을 고려해 업무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  서비스 운영 정책과 업무 프로세스 등을 분석하여 어드민 기능 개선, 프로세스 개선 등 운영 업무를 효율화합니다.

    >  쉽고 편리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개선안을 도출합니다.

    >  
    프로덕트 정의 및 우선 순위 결정 (10-20%)

    B2B 관련 요구사항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CPO와 타 유닛의 PM을 포함한 여러 담당자들과 함께 유닛의 전체적인 프로덕트 로드맵을 구성합니다. 로드맵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들을 백로그로 관리하고, 작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  B2B 관련 프로젝트 기획 및 PRD 작성과 관리(40-50%)

    B2B 프로덕트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과 정책을 기획합니다. 각 프로젝트의 배경, 가설, 목표, 세부 요구사항들을 기획하여 유닛과 공유하고, 세부 진행 방식과 일정을 구체화합니다.

    >  스크럼을 기반으로 한 유닛 프로세스 및 스프린트 백로그 관리(20-30%)

    프로덕트 디자이너 및 개발자들과 함께 협업을 통해 요구사항들을 실제로 구현합니다. 스프린트를 진행하기 위한 백로그를 주로 관리하며 실행에 있어 유닛의 스크럼 마스터와 함께 유닛의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고 기능 구현에 있어 bottleneck들을 제거하며 최적화합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프로덕트 관리(10%)
    코드잇의 PM은 프로덕트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개발이 완료된 프로젝트들이 목표에 맞게 잘 달성되었는지 등에 대해 끊임없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를 해야 합니다.
    >  Product Management
       - 유저 인터뷰/시장리서치 기반의 신규 교육 프로그램 기획, 운영
      - 기관/기업 담당자의 초기 미팅부터 기업 교육의 전반적 업무 수행
      - 기관/기업 대상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익 모델 설계
      - 제품의 핵심 지표를 발굴하고, 지표 개선을 위한 작업 진행
      - 기관/기업 대상 교육 프로덕트의 서비스 운영 안정화 및 고도화를 위한 고객경험 설계

    >  Growth
      - 퍼널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덕트 핵심 지표 설계
      -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사이트 발견 (Growth Point 발견)
      - Growth Point 강화를 위한 개선점 도출
      - 기회 가설 검증을 통한 유입율, 전환율, 전환가치 개선

    자격 요건 >  웹/앱 서비스에 대한 PM/PO 경험 4년 이상이신 분

    >  서비스 성장을 위한 개선 기획과 안정적이고 효율적 제공을 위한 운영 기획을 경험하신 분

    >  
    미니 CEO 와 같이 업무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맡은 서비스에 대한 높은 책임감과 애정이 있으신 분

    >  다양한 협업 팀과 사용자/기술/사업 측면에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분
    >  코드잇의 비전에 공감하며,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추신 분

    >  다양한 회사 내외의 요구사항들과 유저 데이터에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그를 바탕으로 조직 내에서 추친이 가능하신 분

    >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과 실행을 통해 기업을 성장시킬 수 있는 분

    웹 서비스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있는 분
    >  Product Management 혹은 유관 경력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분

    >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듣고 공감해줄 수 있는 분


    >  다양한 사람들과 글 또는 말로 활발하게 커뮤니케이션 잘 할 수 있는 분


    >  시스템을 만들고, 체계적으로 문서화 할 수 있는 분


    >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새로운 일에 도전하기 좋아하는 분


    >  일의 우선순위를 먼저 정하고, 꼼꼼하게 처리할 수 있는 분


    >  목표 수치를 세우고, 그 수치에 기반해서 일할 수 있는 분
    우대 조건 >  여러 시스템(프로젝트)을 병행하여 운영하며 우선순위를 관리해본 경험이 있는 분

    >  급격히 성장하는 스타트업 환경에서 업무한 경험이 분

    >  헬스케어 산업에서의 근무 경험이나 이해가 높은 분
    >  MongoDB(noSQL)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 분

    >  스크럼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본 경험이 있는 분


    >  B2B 서비스를 관리해 본 경험이 있는 분
    >  교육 사업 경험을 보유하신 분

    개발 경험 또는 개발자와의 협업 경험을 보유하신 분


    >  교육 제품에
    대한 개인 철학 및 지속적 관심과 연구 활동 (독서 및 해외 서비스 경험 등)을 수행하고 계신 분


    >  B2B 교육 업무 경력을 보유하신 분


    >  기업 영업 및 영업관리 경력을 보유하신 분


    >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분

    기업 선정 기준은 내가 알고 있었던 혹은 들어봤던 회사들이다. 이 세 곳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부분과 내가 생각하기에 중요한 부분을 작성해봤다. 

     

    첫 번째, 업무 

    이 기업들은 JD를 1) 전체적인 프로세스 참여 2) 업무 우선순위 3) 데이터 분석 4) 프로젝트 기획 5) 시장분석 능력 6) 업무 프로세스 분석 후 효율화로 정의를 하였다. 

     

    두번째, 자격조건 

    이 기업들은 자격조건을 1) 커뮤니케이션 2)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3) 일의 우선순위 4) 추진력으로 설명했다.

     

    세 번째, 우대조건

    이 기업들은 우대조건을 1) 시장에 대한 이해도 2) Program language (SQL) 3) 경험(경력) 4) 자기 계발로 설명했다.

     

    굿닥에서는 업무의 효율성과 시장에 대한 이해도코드잇에서는 스크럼 프로세스, 코드 스테이츠에서는 시장과 프로덕트 분석을 강조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Wrap up 전에, PM Responsibilities를 번역하여 PM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https://productmanagerhq.com/what-is-a-product-manager/

    * 작성자가 주관적으로 읽고 해석한 것으로 원작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과 다를 수 있습니다*

     

     1. Stand Up Meetings

    The team gets together and talks about what they worked on yesterday, what they will be working on, and if there are any blockers preventing anyone from doing work. -> Stand up 미팅을 통하여 팀원들이 맞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와 팀의 현재 업무 진행도를 파악한다.  * Stand up 미팅은 보통 매일 하며 짧게 끝나는 것이 특징

     

     2. Talking to Customer

     

    You should be spending time with your customers to understand that what your team is building is valuable for your customers -> 고객과 시간을 보내며 고객의 이해도를 높여 고객의 needs를 파악해야 한다

     

     3. Product Backlog Management

     

     You need to prioritize which features your team will work on in upcoming sprints. -> 백로그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여 시간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4. Strategic Planning

     

    Product managers are in charge of determining not just the immediate next work items of the product, but also the long-term product strategy and vision. It’s critical to stay in sync with changes in the industry and in the competitive landscape, and it’s crucial that you have a stance on what the future will look like in your space. -> PM은 당장 처리해야 하는 일 그리고 장기적인 전략과 비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5. Spec

     

    You’re responsible for comprehensive specs for new features and products. Part of the spec includes business goals, user stories, product requirements, and customer context.  As you get more input from the engineering team, product team, and customers, you’ll continue to refine your spec until you decide it’s ready to be built. -> Spec를 파악할 줄 알아야 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정보를 얻어 spec을 개선해야 한다. 

     

      6. Meetings with Other Teams

     

    The most effective way to transmit information is through meetings. ->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미팅을 통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7. Data Analysis

     

    To identify what business value your product is meant to drive.  -> 어떠한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것인가에 대한 파악

     

      8. Documentation

     

    Product managers are responsible for ensuring that information flows to the right people at the right time. -> PMd은 정보가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사람에게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 

     

     


     

    위의 세 곳 PM 공고 분석과 PM Responsibilities을 통하여 얻은 나만의 PM 정의는 다음과 같다. 

     


    시장/제품 분석 능력이 뛰어나야 함 (엑셀, SQL 등)
    커뮤니케이션 스킬 중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때문)
    팀원들을 위해 Coach, Janitor가 되어야 한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옳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함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고객의 이해 







    마지막으로, 내가 어떠한 PM이 되고 싶은가를 작성으로 글을 끝내려 한다.

    1) 오픈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PM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고객들의 Needs 또 Pain point를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의견을 받아들이며 진심으로 이해할 수 있는 PM만이 좋은 Product를 생산할 수 있는 것 같다.

     

    2) 커뮤니케이션

    1번과 같은 맥락으로 나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해 모든 이해관계자가 동일한 page에 있게 하여 모두가 한 목표 혹은 비전을 향해 나아갈 수 있게끔 하고 싶다. 

     

    3) 끊임없이 학습하는

    이렇게 분석을 하고 나니, PM은 정말 다양한 장르의 지식과 트렌드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와닿았다. 계속해서 공부를 하며 성장해나가는 그런 PM이 되고 싶다.

     

    4)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같이 일을 하고 싶어 하는 

    디자이너와 개발자 needs를 파악, 그들의 프로세스와 업무를 대략적이라도 파악하여 양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PM이 되고 싶다.  

     

     

    이렇게 작성하고 나니 PM의 업무에 대하여 좀 더 잘 이해한 것 같은 기분이다. 또, 좋은 PM이 되기 위해서는 정말 오픈 마인드와 커뮤니케이션이 필요로 하다는 것이 느껴진다.

    W1 D1 과제 끝- 

     

    댓글

Designed by Tistory.